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댑터 패턴과 브릿지 패턴을 연결하여 이해한다.
기능 부분과 구현 부분을 분리하는 것이 이번 패턴의 키워드이다.
브릿지 패턴은 잘 사용되지 않고, 어댑터 패턴과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먼저 알고 들어가자.
먼저 브릿지 패턴을 사용하지 않은 소스를 확인해보자
-
요구사항은 입력한 단어를 모스부호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다.
public class MorseCode { public void dot() { System.out.print("·"); } public void dash() { System.out.print("-"); } public void space() { System.out.print(" "); } } public class PrintMorseCode extends MorseCode { //blue public PrintMorseCode b() { dash();dot();dot();dot();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l() { dot();dash();dot();dot();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u() { dot();dot();dash();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e() { dot();space(); return this; } } public class Bridg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MorseCode printMorseCode = new PrintMorseCode(); printMorseCode.b().l().u().e(); } } //실행 결과 //-··· ·-·· ··- ·
그런데 만약에 모스부호를 노출시켜주는 것이 문자형식이 아닌 음성으로 변경될 경우, MorseCode의 각 메소드들을 변경해줘야 하거나 아니면 음성에 관련된 책임으로 되어있는 MorseCode2라는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MorseCode2를 상속받는 PrintMorseCode2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브릿지 패턴을 사용해보자.
- 먼저 기능들을 외부에 노출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public interface MorseCodeFunction {
public void dot();
public void dash();
public void space();
}
-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는 세부적인 클래스를 만든다.
public class DefaultMCF implements MorseCodeFunction{
@Override
public void dot() {
System.out.print("·");
}
@Override
public void dash() {
System.out.print("-");
}
@Override
public void space() {
System.out.print(" ");
}
}
- 그리고 이제 해당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좀 더 구체적인 기능을 구현한다.
public class MorseCode {
private MorseCodeFunction function;
public MorseCode(MorseCodeFunction function) {
this.function = function;
}
public void setFunction(MorseCodeFunction function) {
this.function = function;
}
public void dot() {
function.dot();
}
public void dash() {
function.dash();
}
public void space() {
function.space();
}
}
- 이제 해당 기능들을 상속받아 원하는 로직들을 구성한다. 여기서는 알파벳 별 모스 부호를 구현한다.
public class PrintMorseCode extends MorseCode {
public PrintMorseCode(MorseCodeFunction function) {
super(function);
}
//blue
public PrintMorseCode b() {
dash();dot();dot();dot();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l() {
dot();dash();dot();dot();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u() {
dot();dot();dash();space();
return this;
}
public PrintMorseCode e() {
dot();space();
return this;
}
}
- Main을 보자.
public class Bridg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MorseCode printMorseCode = new PrintMorseCode(new DefaultMCF());
printMorseCode.b().l().u().e();
}
}
//실행결과
//-··· ·-·· ··- ·
- 이제 그 전에 얘기했던 음성 모스 부호로 나타내는 요구사항으로 변경되었을 때, MorseCode와 PrintMorseCode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호에 대해 구현하는 클래스를 추가만 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DefaultMCF에 해당되고, 음성 모스 부호인 SoundMCF를 추가해보자.
public class SoundMCF implements MorseCodeFunction{
@Override
public void dot() {
System.out.print("삣");
}
@Override
public void dash() {
System.out.print("삐~");
}
@Override
public void space() {
System.out.print(" ");
}
}
- 음성 모스 부호를 호출하는 메인도 아래와 같이 간단히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ublic class Bridg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MorseCode printMorseCode = new PrintMorseCode(new FlashMCF());
printMorseCode.b().l().u().e();
}
}
//실행 결과
//-*-### #-*-## ##-*- #
우리는 이처럼 브릿지 패턴을 사용하게 된다면, 유지보수 측면에서 매우 간단한 수정으로 요구 사항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Java > 디자인 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패턴] 데코레이터 패턴 (0) | 2020.05.24 |
---|---|
[디자인 패턴] 컴포지트 패턴 (0) | 2020.05.24 |
[디자인 패턴] 추상 팩토리 패턴 (0) | 2020.05.18 |
[디자인 패턴] 빌더 패턴 (0) | 2020.05.10 |
[디자인 패턴] 프로토타입 패턴(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0) | 2020.05.10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연관관계
- 정적팩터리메서드
- 자바8
- 이펙티브 자바
- 팩토리 메소드 패턴
- JPA
- 복사 팩토리
- java
- Spring
- flatMap
- 빌더 패턴
- package-private
- Effective Java
- junit
- jdk버전
- 김영한
- 점층적 생성 패턴
- springboot
- ifPresent
- 인프런
- try with resources
- try catch finally
- 이펙티브자바
- effectivejava
- @Lazy
- mustache
- 스프링부트
- 생성자
- 빈 순환 참조
- java8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