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SpringBoot 실습
[SpringBoot 실습] 스프링 부트의 기본 애노테이션
메성
2020. 1. 20. 23:15
반응형
스프링 부트의 애노테이션
Main 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SpringBootApplication
- 스프링 부트의 자동 설정, 스프링 Bean 읽기와 생성이 모두 가능하다.
- 해당 애노테이션이 있는 부분부터 설정을 읽어가기 때문에, 해당 애노테이션이 있는 클래스는 항상 프로젝트의 최상단에 위치해야한다.
SpringApplication.run()
- run()으로 인해 Spring Boot의 내장 WAS를 실행한다.
- 이를 통해서 톰캣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스프링 부트로 만들어진 Jar 파일로 실행이 가능하다.
- SpringBoot에서는 내장 WAS를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는데, 이유는 언제 어디서든 같은 환경에서 SpringBoot를 배포할 수 있기 때문이다.
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
}
@RestController
- 해당 컨트롤러를 JSON으로 반환하는 컨트롤러로 만든다
- 예전에는 @ResponseBody를 각 메소드마다 선언했는데, 해당 애노테이션을 통해서 한번에 설정이 가능해졌다.
@GetMapping
- HTTP Method인 Get의 요청을 받을 수 있는 API를 만든다.
- 예전에는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으로 사용했다.(현재 회사는 아직도..)
Controller에 DTO 추가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
@GetMapping("/hello/dto")
public HelloReponseDto helloDto(@RequestParam("name") String name, @RequestParam("amount") int amount) {
return new HelloReponseDto(name, amount);
}
}
@RequestParam
- 외부에서 API로 넘긴 파라미터를 가져오는 어노테이션이다.
- 외부에서 name이란 이름으로 넘긴 파라미터를 메소드 파라미터 String name으로 저장하게 된다.
참고
http://www.yes24.com/Product/Goods/83849117?Acode=101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가장 빠르고 쉽게 웹 서비스의 모든 과정을 경험한다. 경험이 실력이 되는 순간!이 책은 제목 그대로 스프링 부트와 AWS로 웹 서비스를 구현한다. JPA와 JUnit 테스트, 그레이들, 머스테치,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한 소셜 로그인 등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뒤이어 AWS 인프라의 기본 사용법과 AWS EC2와 R...
www.yes24.com
반응형